**천밀천전(天蜜天顚)**
천밀천전(天蜜天顚)은 주로 고대 중국 역사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의 권력과 사랑, 그리고 그로 인한 몰락을 상징하는 문학적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 용어는 "천밀(天蜜)"이란 말에서 달콤함과 번영을, "천전(天顚)"에서 비극적 몰락과 역경을 의미한다. 이는 역사 속에서 권력을 쥔 인물들이 처음에는 성공과 영광을 누리지만, 결국 그들 자신의 야망과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 몰락하는 이야기를 암시한다.
천밀천전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당나라(唐) 시대의 현종(玄宗, Li Longji)과 양귀비(楊貴妃)의 이야기를 들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천밀과 천전의 두 극단을 모두 체험한 역사적 사건으로, 중국 역사 속에서 가장 유명한 황실 로맨스로 기록되어 있다.
당 현종은 그의 치세 초기에는 '개원지치(開元之治)'라 불릴 정도로 문치를 이끌며 나라를 번영시켰다. 이 시기를 '천밀(天蜜)'의 시기라 할 수 있다. 현종은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문화와 예술을 장려하며 당나라를 중국 역사상 가장 번성한 시기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 모든 번영은 그의 후반 치세에서 몰락으로 이어진다. 그의 삶에 있어서 결정적인 인물은 바로 양귀비였다.
양귀비는 원래 현종의 아들인 수왕(壽王)의 부인이었으나, 그녀의 미모와 지혜에 매료된 현종은 그녀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다. 양귀비와의 관계는 현종에게 있어 달콤한 '천밀'과도 같았다. 그녀와 함께한 날들은 그에게 있어 기쁨과 행복의 연속이었다. 양귀비는 단순한 후궁 이상의 존재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종의 신뢰를 받았다. 그녀의 가족들도 권력을 얻으며, 특히 그녀의 사촌인 양국충(楊國忠)은 당나라 정치에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그러나 이러한 천밀한 시기에도 천전(天顚)의 그림자는 서서히 드리워졌다. 양귀비에 대한 현종의 지나친 애정은 국가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양귀비 일가의 권력 남용과 부패는 국가 안정을 해쳤고, 이로 인해 민심이 흔들렸다. 특히 이때 발발한 안사의 난(安史之亂)은 현종 치세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이 반란은 당나라의 근간을 뒤흔든 사건으로, 양국충과 그의 일가의 부패에 대한 민중의 분노가 폭발한 결과였다.
안사의 난이 일어나자, 현종과 양귀비는 장안(長安)을 떠나 피난길에 오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군대와 민중은 양귀비와 그녀의 일가가 당나라의 혼란을 초래했다고 비난하며, 양귀비의 처형을 요구했다. 결국 현종은 양귀비를 희생할 수밖에 없었고, 그녀는 마구에서 목이 졸려 죽임을 당했다. 이는 현종에게 있어 달콤했던 '천밀'의 시기가 비극적인 '천전'으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이 사건 이후 현종은 정치적 권력을 잃고, 당나라는 안사의 난으로 인해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천밀한 권력과 사랑이 결국은 천전으로 끝난 이 이야기는 후대에 많은 문학과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특히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는 "장한가(長恨歌)"라는 시를 통해 이들의 비극적 사랑을 노래했다. 이 시에서 그는 천밀한 사랑이 어떻게 천전의 비극으로 치닫는지를 감정적으로 묘사하며, 역사의 교훈을 담았다.
천밀천전은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교훈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진시황(秦始皇)도 천밀천전의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그는 중국을 통일하고 법가사상을 바탕으로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천밀한 시기를 누렸지만, 그의 지나친 권력 집중과 잔혹한 정치로 인해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천밀천전은 결국 인간의 권력욕과 감정이 가져올 수 있는 극단적 결과를 경고하는 역사적 교훈이다. 달콤한 성공과 권력이 있을 때는 늘 그 끝에 다가올 비극적인 전환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언어 유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천상금루(天上金樓)** (2) | 2024.10.01 |
---|---|
5 **등처 먹다(登處 먹다)** (2) | 2024.10.01 |
3 **아소 공주(阿蘇公主)와 토번제국(吐蕃帝國)** (2) | 2024.10.01 |
2 **서하제국(西夏帝國)** (2) | 2024.10.01 |
1 **칠심 잡종 (七心 雜種)** (1) | 2024.10.01 |